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꽃잎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꽃잎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겪은 후 정신적 충격을 받은 소녀와 그녀를 학대하는 남자의 이야기를 통해 국가 폭력의 희생자와 사회의 무관심을 비극적으로 그린 1996년 대한민국 영화이다. 이정현, 문성근 등이 출연했으며, 장선우가 감독을 맡았다. 제41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에서 문성근이 남우주연상을, 이정현이 신인여우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선우 감독 영화 - 거짓말 (2000년 영화)
    장선우 감독의 영화 《거짓말》은 장정일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미성년자와의 변태적 성관계 묘사로 등급 보류 판정을 받아 논란을 일으켰다.
  • 장선우 감독 영화 - 성공시대 (1988년 영화)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공시대는 1980년대 한국 사회의 단면을 풍자하며, 감미료 회사를 배경으로 성공에 대한 욕망과 배신, 좌절을 겪는 한 남자의 멜로 드라마이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 - 26년 (영화)
    2012년 개봉한 영화 《26년》은 강풀의 웹툰을 원작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과 학살 책임자에게 복수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진구, 한혜진, 임슬옹 등이 출연, 크라우드 펀딩으로 제작되어 복수와 정의, 개인적 복수와 역사적 정의 사이의 관계를 조명한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 - 오래된 정원 (영화)
    오래된 정원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인물이 수감 생활 후 사회에 적응하며 겪는 고립감과 과거 사랑했던 여인과의 기억을 다룬 임상수 감독의 2006년 영화로, 지진희, 염정아 등이 출연했으며 염정아는 백상예술대상 최우수 여자 연기상을 수상했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 - 제4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 체제 하 주요 사건들을 다룬 드라마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부터 5·18 광주 민주화 운동까지 다루며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 - 26년 (영화)
    2012년 개봉한 영화 《26년》은 강풀의 웹툰을 원작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과 학살 책임자에게 복수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진구, 한혜진, 임슬옹 등이 출연, 크라우드 펀딩으로 제작되어 복수와 정의, 개인적 복수와 역사적 정의 사이의 관계를 조명한다.
꽃잎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꽃잎" 포스터
원어 제목꽃잎
로마자 표기Kkonnip
감독장선우
제작박건섭
각본장문일, 장선우
출연이정현, 문성근
음악원일
촬영유영길
편집김양일
배급사미라신코리아, 대우시네마
개봉일1996년 4월 5일
상영 시간101분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관람 등급청소년 관람불가

2. 줄거리

이 영화는 15세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겪은 소녀의 이야기와 이후 그녀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그린다.[4] 제작 때부터 많은 화제를 뿌렸던 <꽃잎>의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소녀를 학대하다가 소녀가 사라져버리자 미쳐버리는 장의 모습이다. 소녀가 실성한 이유를 알게 된 장의 모습은 비극적 인식의 확산이자 공유이기 때문이다. 또한 동료 인부들을 통해 광주를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장은 어렴풋이나마 소녀의 비극적 아픔을 이해하고 끝내 미쳐버리는데, 이는 장중한 비극미와 함께 울림을 준다. 장의 캐릭터는 광주 민주화 운동 피해자에 대한 제3자의 무관심과 학대가 잘못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3. 등장 인물

3. 1. 중심 인물

3. 2. 주변 인물

3. 3. 그 외 인물

4. 제작진

분야이름
감독장선우
조감독장문일, 심광진, 김수현, 이혜영, 임재홍, 한관택
각본장선우, 심광진
원작최윤
촬영유영길
촬영부석형진, 김형래, 남궁정진, 유호, 김용홍, 조도영
조명김동호
조명부고영광, 김성관, 이재영, 이종필, 박연일, 이성재
스틸포토매직
기획김수진
제작박건섭
제작 진행김정호, 이혜경, 구승철, 조재홍, 조민철
제작 총무강선규
제작 지원김창효, 박연희, 남진우
동시 녹음이영길
녹음강봉성, 변희철, 조남길, 이호원, 시드니
효과크리스틴 베이스, 스티제 부르가스, 팀 조딘, 게리 롱
음악원일
미술박시종, 오형석
특수 효과김철석, 김태용
분장장소진, 주호진
의상김진묵, 이지혜
시각 효과L.I.M
편집김양일
현상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유진 로체
색보정케이진 크럼핀
마케팅정선주, 권영주
세트양성대
미술팀이수근
세트 미술정대용
의상/분장팀한경숙
1st 어시스턴트둔칸 타일오르
2nd 어시스턴트킨 로우틴
3rd 어시스턴트린 보드
네가 커트크리스 로웰
사운드 믹서마이클 톰프슨
대사 편집스티제 무르피
옵티컬리크 스프링에트
자막 디자인안상수, 김진혁
기획 진행강원숙, 임정하
홍보 사진오형근
광고 디자인씨네라인
호주 후반 작업 진행곽경희
호주 후반 작업 수퍼바이저김양일
광주 현장 직행박효선, 임상수
타이틀옵티컬&그래픽
D-비젼그리스 로웰
D-필림컴퓨터 효과
애니메이션서울무비
자료 제공유르겐 킨즈 피터
스테디캠곽명훈, 박현철
슈퍼 크레인영상시대
조명 크레인김용원
발전차김봉석
수송정진우
MBC 운송황종하, 유동화, 김성태, 원종운
카메라카원정운
필름윤필름
스턴트최영래, 황재석, 김기범, 지성환, 이행준, 이천희


5. 제작 과정

이 영화는 15세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겪은 소녀의 이야기와 이후 그녀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그린다.[4]

광주 현장에서 대규모 군중 장면(mob scene) 촬영 등 제작 때부터 많은 화제를 모았다. 특히 소녀가 있을 땐 학대하다가 소녀가 사라져버리자 미쳐버리는 장의 모습은 인상적인 장면으로 꼽힌다. 소녀의 실성기의 정체를 알게 된 장의 그런 모습은 비극적 인식의 확산이자 공유가 되기 때문이다. 동료 인부들을 통해 광주를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어렴풋하게나마 장의 무지가 소녀의 비극적 아픔에 가닿고 끝내 미쳐버림은 장중한 비극미와 함께 울림이 있다. 장의 캐릭터는 광주 피해자에 대한 제3자의 무관심과 학대가 잘못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배경음으로 깔린 국악의 애잔한 선율이 분위기를 돋구었고, 탱크 진격과 공수부대원의 무차별 난타 장면 등이 흑백화면으로 재현되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당시 연기에 익숙하지 않았던 15세 이정현에게 이 영화는 어려운 작업이었다. 장선우 감독은 촬영 첫날 화가 났다. 이정현은 "처음에는 연기를 잘 못해서 감독님이 대본을 버리고 촬영을 중단했어요. 제가 직접 들고 기숙사에서 오랫동안 울었어요. 그러고 나서 정신을 차렸죠. '그럼 미친 아이처럼 살아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연기를 못하면, 그런 사람이 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으니까요."라고 회상했다. 그래서 그녀는 촬영 전에 동네를 3~4시간씩 돌아다니기 시작했다. 동네 사람들은 그녀를 진짜 미친 아이로 생각하고 집으로 데려가 씻기고 먹였다. 이정현은 "일상과 연기 사이에 경계가 없었어요. 무식한 접근이었죠. (웃음). 감독님과 설경구 선배는 저를 보면서 '내일이 마지막 촬영인데, 촬영이 끝나고도 저러면 어쩌지?'라고 하셨어요."라고 말했다.[5]

6. 평가

영화 《꽃잎》은 제작 당시부터 많은 화제를 모았으며, 특히 광주 현장에서 대규모 군중 장면을 촬영한 것이 인상적이다.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소녀를 학대하다가 소녀가 사라지자 미쳐버리는 장(문성근 분)의 모습이다.[4] 장은 동료 인부들을 통해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자신의 무지가 소녀의 비극적 아픔과 연결됨을 깨닫고 미쳐버리는데, 이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피해자에 대한 제3자의 무관심과 학대가 잘못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영화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국악의 애잔한 선율은 분위기를 돋우며, 《구로 아리랑》에서 전경의 군홧발이 노동자의 영정을 짓밟는 장면이 삭제되었던 것과 비교하면 탱크 진격과 공수부대원의 무차별 난타 장면 등이 흑백 화면으로 재현되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당시 15세였던 이정현은 촬영 초반 연기에 어려움을 겪었고, 장선우 감독은 이정현의 연기에 화를 내며 촬영을 중단하기도 했다.[5] 이정현은 역할에 몰입하기 위해 촬영 전 동네를 몇 시간씩 돌아다녔고, 동네 사람들은 그녀를 진짜 미친 아이로 착각할 정도였다. 이정현은 이 경험을 통해 연기에 대한 진정성 있는 접근을 했다고 회상했다.

6. 1. 긍정적 평가

花瓣중국어은 제작 때부터 많은 화제를 모았으며, 특히 광주 현장에서의 대규모 군중 장면 촬영이 인상적이다.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소녀가 있을 때는 학대하다가 소녀가 사라지자 미쳐버리는 장(문성근 분)의 모습이다. 소녀의 실성 원인을 알게 된 장의 모습은 비극적 인식의 확산과 공유를 보여준다. 동료 인부들을 통해 광주를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장은 자신의 무지가 소녀의 비극적 아픔과 연결됨을 깨닫고, 끝내 미쳐버리는 모습은 장중한 비극미와 함께 큰 울림을 준다. 장의 캐릭터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피해자에 대한 제3자의 무관심과 학대가 잘못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4]

영화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국악의 애잔한 선율이 분위기를 돋우며, 전경의 군홧발이 노동자의 영정을 짓밟는 장면이 삭제되었던 《구로 아리랑》과 비교하면 탱크 진격과 공수부대원의 무차별 난타 장면 등이 흑백 화면으로 재현되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특히, 당시 15세였던 이정현은 연기에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장선우 감독은 촬영 첫날 이정현의 연기에 화를 내며 촬영을 중단하기도 했다. 이정현은 "미친 아이처럼 살아야겠다"고 결심하고 촬영 전 동네를 3~4시간씩 돌아다니며 역할에 몰입했다. 동네 사람들은 그녀를 진짜 미친 아이로 착각할 정도였다. 이정현은 "일상과 연기 사이에 경계가 없었다"고 회상하며, 당시의 경험을 통해 연기에 대한 무식하지만 진정성 있는 접근을 했다고 밝혔다.[5]

7. 수상 내역

연도상 이름수상자
1996년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6]
1996년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문성근
1996년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문성근
1996년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이정현
1996년대종상 신인여우상이정현
1996년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배우상이정현
1997년씨네21 영화상 신인배우상이정현
1998년방콕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아시아 영화
1996년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 및 특별 언급장선우
1997년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KNF상 특별 언급장선우


참조

[1] 웹사이트 꽃잎. http://kr.dictionary[...] Yahoo! Korea Korean Dictionary 2012-07-13
[2] 웹사이트 A Petal (Kkoch-ip) (1996) https://archive.toda[...] KMDb Korean Movie Database 2012-08-04
[3] 웹사이트 꽃잎 http://movie.naver.c[...]
[4] 웹사이트 A Petal (Kkoch-ip) (1996) https://archive.toda[...] KMDb Korean Movie Database 2012-08-04
[5] 웹사이트 이정현 "데뷔작 '꽃잎', 감독님이 연기 너무 못한다며 대본 집어던져" https://www.yazhouri[...] 2022-08-05
[6] 웹사이트 Awards for Ggotip (1996) https://www.imdb.com[...] IMDB 2008-01-11
[7] 문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앓는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